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키덜트 마케팅

dudb2 2008. 7. 15. 15:54

키덜트란 키즈와 어덜트의 합성어 입니다.

문자그대로 어른이면서 어린이와 같은 모습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고자 하는 고객이 그 대상이라 하겠습니다.

 

키덜트는 왜 생겨날까요?

키덜트 수요층은 캐릭터 분야에서 특히 많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어릴 적 보아왔던 애니메이션이나 캐릭터 상품을 통해 보고 이를 사용하던 고객들이 이러한 캐릭터들과의 친숙성을 성인이 되고서도 간직하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키덜트의 특징

1.       키덜트들은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다.(순수함,귀여움,발랄함,개구장이) 왜 키덜트라고 했는지 그 용어에서 나타나듯이 키덜트들은 우선적으로 자신을 표현 해 줄 수 있는 이미지를 원한다. 명품이 그 주인의 이미지를 나타내듯이 키덜트 상품 또한 그 사용자의 성격과 이미지를 대변 한다. 이에 어린이의 순수함,맑음,꿈,재미,즐거움,기쁨등을 나타내 주깅 원하고 있다.

2.       키덜트들은 고객은 다음세대에 트랜드를 상속시킨다. 키덜트는 자신들이 만들어 놓은 문하와 트랜드가 계속 유지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계속 동호회,모임,사이버공간내의 커뮤니티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문화가 좋은 것임을 드러내고자하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이미지표현의 방법을 인정 받고자 한다.

3.       키덜트들은 항상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원한다.(캐릭터의 성숙)앞서 말한 바아 같이 자신들의 아이덴티티와 트랜드를 계속 유지하려면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자신들의 범주 안에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들이 새롭게 나와 주어야 한다. 시리즈물을 통해서,영상물을 통해서,패션을 통해서,아니면 상품을 통해서든 새로운 소재로서의 그 시대에 또한번 드러낼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요구하고 있다.

4.       키덜트들은 커뮤니티와 컨텐츠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키덜트 개인의 혼자힘으로는 유지해 나갈 수가 없다. 혹 한 개인이 유지해 나가더라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 될 것이다. 이에 키덜트는 서로 정보를 공유 하며 문화를 새롭게 만들기 위하여 효과적인 커뮤니티를 운영하며 이러한 커뮤니티 속에서 발생하는 컨텐츠들에 대하여 주의깊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5.       키덜트는 어린이와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들과 자신만을 차별화 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키덜트는 자신들의 문화를 세습 시키기 위하여(키덜트 문화를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자녀, 또는 이웃들과 함께 할 것을 권유한다. 반대로 커뮤니티를 통해 문화를 유지해 나아가면서도 일정 수 이상의 키덜트의 확대를 조절함으로서 자신들의 차별화와 독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다.

 

키덜트의 현상의 사례(상품부분)를 몇 가지 들어보면

워너브라더스,월트디즈니의  애니멘이션에서 나오는 만화영들이 단순히 어린이만을 위한 만화영화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또한 차량용품,욕실용품,잡하용품등 수많은 상품에 반영되는 캐릭터 상품군을 보더라도 이는 키덜트의 수요가 그만큼 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인 캐릭터로 딸기,마시마로,뿌까 등이 있으며 해외에서는 바비,피터래빗,,테디베어,핼로키티,스파이더맨,베티붑,미키미니,푸우,아톰,마징가Z,건담,도라에몽(한국에서는 동짜몽)등 여러캐릭터가 있습니다. 이러한 키덜트 상품의 품목은 대부분 욕실,차량,핸드폰고리,액세서리,미니어쳐,주방용품,침장 침구류,의류 등 수많은 아이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어린아이 뿐만 아니라 성인들의 컨셉에 맞도록 이미지를 향상시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을 전개 하고 있습니다.

 

키덜트의 컨텐츠는 흔히 말하는 복고풍과 함께 모바일,애니메이션,외식,테마파크 등 다양한 공간과 문화를 만들어 그들의 순수함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감성 마케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서 키덜트 고객들이 원하는 공간에서의 순수함을 다시 상기시켜줄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해줌과 동시에 그러한 공간 속의 자신이 다시 드러나도록 그 속에서의 주인공으로 만들어 줌으로서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 시켜주는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키덜트 마케팅의 방법

1.       대상고객들이 선호하거나 원하는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찾아야 한다.

2.       어떠한 컨셉으로 키덜트의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아니면 트랜드를 이끌 것인지를 모니터 하여야 한다.

3.       ,무형 상품을 전개할 시기와 장소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4.       현재 보유하건 확보된 키덜트들의 커뮤니티가 얼마가 활성화 되어있는지 알아야 한다.

5.       세습될 수 있는 상품인지 알아야 한다.(어린이-소년-청년-부모-다시 자녀에게로)

6.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한 상품이어야 한다.(시리즈,원작,테마,아이템,카테고리 등)

7.       상업성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꿈을 줄 수 있는 상품이어야 한다.

 

키덜트 또한 하나의 트랜드이자 문화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그리고 캐릭터나 컨텐츠,테마파크(쌈지의 헤이리 딸기가 좋아,테디베어 박물관,뿌까,바비,베티붑,월트디즈니의 미키미니,스누피),취미 동호회(미니어쳐,프라모델,종이접기)등에서의 키덜트 문화가 많이 드러나는 곳들이 많습니다. 이를 참고하심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출처: achimvit70@empal.com  016-9613-9913

출처 : 국민경영짱
글쓴이 : 손명준/082763/경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