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감성 마케팅

dudb2 2008. 7. 15. 15:58



 

감성마케팅           


감성마케팅이란?


 

   감성 마케팅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감성이나 취향을 눈에 보이는 색채나 형태, 소재로 형상화하거나 인간의 감각이나 감성에

 호소하는 마케팅을 말한다. 감성 마케팅의 특징은 소비자들을 자극하여 무의식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 이를 매출증대로 연결

한다는 데 있다. 이성에 호소하기보다는 이미지를 중시하는 감성을 자극해 직접적으로 소비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감성 마케팅의 등장배경


   이성 마케팅(편익이나 기능 또는 가격을 강조) → 감성마케팅(오감, 형태, 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고객의 구매성향은 단순히 제품(product)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편익(benefit)에 구매 성향이 좌우되지 않고, 이러한

 합리적인 제안보다는 제품에 담긴 이야기나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다. 물론 마케팅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시대적인 변화로 소비자 기호의 변화가 감성마케팅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지속적인 신기술의 등장과 정보화 그에 따른 경제 발전은 시대의 흐름을 계속 바꾸어 놓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눈과 마음까지 뒤흔들어 놓고 있다. 소비자의 구매요인이 일개의 기능이나 편리함에서 즐거움으로 옮겨 가면

서 기업의 감성마케팅이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 사회 일각에서 번지고 있는 감성 열풍도 이런 기류에 편승한 것이다.

 



감성 마케팅의 역사


   기업의 감성마케팅(emotional marketing)은 지난 1920년 미국의 파커사가 여성용 만년필에 붉은 색깔을 사용한 것이 시초

라고 한다. 이때부터 감성마케팅이 사회 각 분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 1981년 컬러TV 방송과 함께 감성마케팅이 도입되었으나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이어 1990년대 중반 인

터넷, 영상미디어의 보급과 함께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불과 10여년 전만 해도 기업들은 소비자의 개성(personality)

과 감성을 크게 염두에 두지 않고 단순히 생산·판매에 치중했다. 이제 국내에서도 감성시대의 본격화가 예고되고 있다.21세기

 들어 업계는 물론 정계에까지 이 기법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여당은 표심을 잡기 위해 유권자의 감성을 적극

활용하여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미국의 빌 클린턴 전임 대통령도 선거 때 감성에 호소하는 TV홍보 전략을 펴 당선에 결정

인 도움을 받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기업의 전략부서에선 업종 구분없이 감성을 이용한 전략개발에 박차

를 가하고 있고 시장(market)은 포화상태로 업계의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단순 판매기법으론 신규수용

창출이 어려워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필요한 때인 것이다.



감성 마케팅의 종류


요소

구체화

마케팅 기법

시각적 요소

색, 모양, 색채 등

시각 마케팅/ 컬러 마케팅

청각적 요소

음량, 음의 고저, 음의 강약 등

청각 마케팅/ 음악 마케팅

촉각적 요소

재료, 질감 등

촉각 마케팅

미각적 요소

미각 마케팅

후각적 요소

향기

향기 마케팅




사례


① 스타벅스

② 오리온 초코파이(정),

③ 경동보일러(효)

④ 다시다(고향의 맛)

⑤ 삼성전자의 애니콜(디자인과 패션 감각)

⑥ KBS의 겨울 연가

⑦ 교보생명의 CF -아빠 힘내세요 CF

⑧ 백화점의 시식(미각)

⑨ SK의 T '되고 SONG' (청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국민경영짱
글쓴이 : 김지형 082705 경영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