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마케팅 관리 측면에서 일반적인 생산자→도매상→소매상의 전통 적 유통경로를 따르지 않고 직접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아 판매하는 것 을 다이렉트 마케팅(Direct Marketing)이라고 한다. 전형적 마케팅이 소비자에 대한 대량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자극하여 구입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데 비해 다이렉트 마케팅은 소비자와의 보다 긴밀한 광고매체 접촉을 이용하여 소비자와 직접 거래를 실현하는 마케 팅 경로를 의미한다.
미국 다이렉트 마케팅 협회(DMA : Direct Marketing Association)는 다 이렉트 마키팅이란‘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가능한 반응이나 거래의 성사를 위해 하나 이상의 광고매체를 이용하는 상호작용적 마케팅 시스 템’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인 대중 마케팅은 광고자가 피광고자 에게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방적(one-way)방식의 메시지 전달 이지만 다이렉트 마케팅은 광고주(판매자)와 피광고주(소비자)와의 1:1 접촉을 시도하여 서로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two-way)방식 마케팅인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신뢰성있고 긴밀한 의사소통만 가능하다면 굳이 점포가 필요치 않아 장소에 제한받지 않음은 물론 광고매체에서도 여러 가지 매체를 혼합(mix)하여 사용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이렉트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database marketing)기법이 동원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은 개별고객과 잠재고객에 대한 이름, 주소, 구매기록, 취향, 생활수준 등 에 관한 다양한 개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이용자의 용도에 맞춰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는 개별 기업이 고객리스트를 작성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전문서비스 업체 가 만들어 제공하기도 한다.
다이렉트 마케팅은 DM, 카탈로그, 신문잡지, TV 등의 매체를 통하여 상 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판매 방법과 고객을 방문하여 판매하는 방문판매 방법이 있다.
통신판매의 경우 일찍부터 통신판매 형태의 유통채널이 발달했던 미국 에서는 통신판매라는 말이 Mail Order로 통용되고 있을 정도로 통신판매 사업의 초창기부터 우편을 매체로 한 판매가 주를 이루어 왔다. 때문에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전화, 뉴미디어 등의 진보된 통신매체가 등장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Mail Order라는 말이 통신판매의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