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스타마케팅 (Star marketing)

dudb2 2008. 7. 15. 16:07

스타마케팅

 

1. 스타 마케팅이란?

 

스타마케팅이란 ' PPL(Product Placement) '의 개념과 의류브랜드이미지와 맞는 연예인에게 자사의류를 협찬해서 구전 효과를 노리는 ' 연예인 의상협찬 ' 의 개념이 합쳐지면서 파생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협의의 개념에다 스타의 초상권 관련 사업 (화보집, 캐리커쳐, 브로마이드, 캐릭터상품 등)과 기타 프로모션 ( 팬사인회, PC통신의 연예관련 IP사업, 음성사서함, 스타 의상판매 등)이 포함되는 광고의 의몰가지 확대되고 있다.

 

이런 스타마케팅은 스타와 브랜드 그리고 고객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데 브랜드는 스타에게 제품협찬과 트렌드 계약을, 스타는 브랜드에게 방송출연과 각종 홍보활동, 고객화, 모델화 시켜주고, 또한 스타와 고객간에는 추종과 모방, 동일시에 대해 유행이나 희망을, 브랜드와 고객간에는 스타에 대한 대리충족과 다양한 판촉행사를 통해, 브랜드 로열티 구매까지의 상호작용이 있음으로써 스타마케팅의 효과가 나타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스타마케팅이 필요한 이유

 

공업화, 정보화가 발달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제품의 성능, 기능면에서 차별화가 없어지면서 기업의 이미지나 제품의 이미지가 판매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마케터들은 제품의 이미지를 동질화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높은 광고효과를 올릴 수 있으며, 스타의 인기 상승과 함께 제품 판매량도 늘어난다는 장점을 가진 스타마케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3. 스타마케팅의 실패

 

스타를 통해 브랜드 호의도 제고 및 구전효과에 의한 매출증대에 용이하고 스타마케팅을 통한 구전효과로 협찬스타의 브랜드화가 가능하므로 이 또한 과거의 고비용 광고 전략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저렴한 마케팅 비용으로도 가능하다. 반면 스타의 인기가 떨어지거나 스캔들 등으로 인해 갑자기 문제가 생길 경우, 제품의 이미지도 함께 나빠질 위험이 있다. 그 예로 MBC 인기 드라마 '허준'에서 '예진아씨'의 고전적인 이미지로 절정의 인기를 구가했던 황수정, 그래서 당시 롯데 백화점 측은 서구적 인공미에 질린 소비자들에게 단아함과 자연미를 겸비한 지고지순함의 한국적 여인상의 상징으로 나름대로 전략을 세워 황수정을 롯데의 얼굴로 삼았다. 스타의 사생활이야 어찌 되었든 간에 브라운관의 이미지를 믿을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롯데는 황수정 사건이 터졌을때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이번에도 미샤라는 화장품 회사가 아이비에게 이미지 실추라는 이유로 팬텀 엔터테이먼트에 5억원이라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국민경영짱
글쓴이 : 김현진082710경영 원글보기
메모 :